본문 바로가기
일상다반사/생활정보

주택청약 종합저축 25만 원, 매달 넣으면 어떤 혜택이 있을까?

by yeon정 2025. 9. 17.

 

안녕하세요! 오늘은 제가 직접 경험한 내용을 바탕으로 ‘주택청약 종합저축’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해요. 처음엔 그냥 “해야 한다니까…”라는 마음으로 시작했는데, 지금 돌이켜보면 정말 잘한 선택이었다고 생각해요.

1. 주택청약 종합저축이란?

주택청약 종합저축은 말 그대로 '내 집 마련'을 위한 첫 걸음이에요. 은행에 일정 금액을 꾸준히 납입하면서, 주택청약 자격과 점수를 쌓는 통장이죠. 국민주택뿐만 아니라 민영주택까지 청약이 가능해서 실용성이 높고, 특히 청년, 사회초년생에게 매우 유리해요.

저는 현재 매달 25만 원씩 자동이체로 납입하고 있는데요. 왜 25만 원이냐고요? 바로, 연간 300만 원까지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에요.

2. 매달 25만 원씩 넣으면 어떤 혜택이 있나요?

1. 청약 가점이 쌓여요

청약에서 당첨되려면 ‘청약 가점’이 중요하다는 얘기 많이 들어보셨죠? 이 가점은 무주택 기간, 부양가족 수, 납입 기간 등으로 구성되는데요, 납입 기간과 횟수가 길수록 가점이 높아져요. 매달 1회씩 정기적으로 납입하면 최대 17점까지 확보할 수 있어요.

 

2. 소득공제 혜택

총급여가 7천만 원 이하인 근로자라면, 연간 300만 원 한도로 소득공제 혜택이 주어져요. 25만 원씩 12개월 납입하면 딱 300만 원! 저도 연말정산할 때 이 혜택으로 환급을 받았답니다.

 

3. 이자 수익

요즘 적금 금리가 낮긴 하지만, 청약통장은 일반 예금보다는 높은 편이에요. 은행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연 1.8~2.1% 정도의 이자가 붙어요. 목돈이 쌓이면서 이자도 같이 생기니 은근히 쏠쏠하죠.

3. 꼭 25만 원씩 넣어야 할까?

꼭 그렇진 않아요! 주택청약 종합저축은 최소 2만 원부터 납입할 수 있어요. 단, 소득공제를 노린다면 연 300만 원 한도에 맞춰 월 25만 원이 가장 효율적이에요. 또, 청약 가점을 위해서는 "매월 1회 납입" 조건이 중요해요. 같은 달에 여러 번 나눠 넣는 건 의미 없고, 매월 1회 납입만 인정된답니다.

4. 얼마나 오래 넣어야 할까?

최소 2년(24회) 이상은 납입해야 청약 가점으로 인정돼요. 실제로는 5년 이상, 60회 이상 납입해야 경쟁력 있는 점수가 나와요. 저도 어느덧 4년 차에 접어들었는데, 꾸준히 납입한 덕분에 점수가 꽤 쌓였답니다.

 


5. 자주 묻는 질문 (FAQ)

Q. 주택청약 통장은 모든 은행에서 만들 수 있나요?
A. 네, 국민은행, 우리은행, 농협, 신한은행 등 대부분의 시중은행에서 개설이 가능합니다.
Q. 중간에 25만 원보다 적게 넣으면 불이익이 있나요?
A. 불이익은 없지만, 소득공제 혜택을 온전히 받으려면 매달 25만 원씩 납입하는 것이 좋아요.
Q. 납입을 쉬는 달이 생기면 어떻게 되나요?
A. 괜찮습니다. 다만 청약 가점에서 인정받는 ‘횟수’가 줄어들게 되니 되도록 매달 꾸준히 납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Q. 이자는 어떻게 받나요?
A. 납입한 원금에 대해 은행에서 지정한 이율에 따라 이자가 붙고, 해지 시 일괄 지급됩니다.

6. 마무리하며: 작은 습관이 내 집 마련의 시작이에요

처음엔 “25만 원씩 넣는다고 뭐가 달라질까?” 싶었는데, 이게 몇 년 지나고 나니, 점수도 쌓이고 목돈도 생기고, 연말정산 때는 환급까지 받았어요. 집을 사려면 정말 많은 준비가 필요한데, 이 통장은 그 시작을 책임져주는 기분이에요.

 

혹시 아직 청약통장이 없으시다면, 이번 달부터라도 시작해보세요. 특히 월 25만 원 자동이체로 설정해두면 잊지 않고 꾸준히 납입할 수 있어서 좋아요.